목차
1. 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
2. Windows에서 라즈베리파이 원격데스트톱 연결하기
3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설치하기
4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테마적용하기 - zsh2000
5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VHeadend 설치하기
6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TVHeadend IPTV 채널 설정하기
7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iniDLNA설치하기
8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ransmission 설치하기
9. 라즈베리파이 토렌트 다운로드 완료 후 seed 자동 삭제하기
10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ariaDB 설치하기
11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nvm 으로 node.js 버전관리하기
라즈베리파이 3 라즈비안에 transmission 설치하기
트랜스 미션 설치
$ sudo apt-get install transmission-daemon
트랜스미션 데몬 실행 확인
트랜스미션 설치가 완료되면 자동으로 데몬이 실행된다.
아래 명령어로 데몬이 정상적으로 실되고 있는지 확인 할 수 있다.
$ ps -ef | grep transmission
트랜스미션 데몬 중지
트랜스미션 설정파일을 수정하기 위해서는 데몬을 중지 시켜야한다.
데몬이 실행중에 설정파일을 수정하면 수정한 내용이 적용되지 않는다.
아래 명령어로 데몬을 중지 시키자
$ sudo service transmission-daemon stop
트랜스미션 데몬 실행 다시 확인하기
데몬 실행이 정상적으로 중지되었는지 위에서 사용했던 명령어로 다시한번 > > 조회해보자
데몬이 중지된걸 확인 할 수 있을 것이다.
$ ps -ef | grep transmission
설정파일 편집기로 열기
nano 편집기를 이용하여 트랜스미션 settings.json파일을 연다.
$ sudo nano /etc/transmission-daemon/settings.json
설정파일 수정하기
아래 빨간색 네모박스의 내용들만 간단히 수정한다.
수정 완료후 Ctrl + x 키를 누른후 y키를 클릭하여 수정 완료후 편집모드를 빠져나온다.
기타 권한 설정
설정파일의 download-dir, incomplete-dir 에서 변경해주었던 디렉토리에 권한을 추가해준다.
$ sudo chmod 777 -R /home/pi/torrent/movie
트랜스미션 데몬 재실행
$ sudo service transmission-daemon start
트랜스미션 웹페이지 접속하기
트랜스미션이 정상적으로 재실행 되었다면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웹페이지에 접속을 할 수 있다.
아이디, 패스워드, 포트는 settings.json 파일에서 확인 할 수 있다.
rpc-port => 포트
rpc-password => 비밀번호
rpc-username => 아이디
'프로그래밍 > 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 (0) | 2021.01.30 |
---|---|
라즈베리파이 oh-my-zsh 설치하기 (0) | 2021.01.28 |
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TVHeadend IPTV 채널 설정하기 (0) | 2021.01.17 |
라즈베리파이 3 buster에 TVHeadend 설치하기 (0) | 2021.01.17 |
라즈베리파이 buster 에 miniDLNA설치하기 (0) | 2021.01.17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