목차
1. 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
2. Windows에서 라즈베리파이 원격데스트톱 연결하기
3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설치하기
4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테마적용하기 - zsh2000
5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VHeadend 설치하기
6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TVHeadend IPTV 채널 설정하기
7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iniDLNA설치하기
8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ransmission 설치하기
9. 라즈베리파이 토렌트 다운로드 완료 후 seed 자동 삭제하기
10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ariaDB 설치하기
11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nvm 으로 node.js 버전관리하기
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TVHeadend IPTV 채널 설정하기
TVHeadend 를 설치 후 http://localhost:9981 또는 내부망의 TVHeadend가 설치된 기기의 IP를 이용하여 웹화면으로 접속한다.
필자는 TVHeadend가 설치된 라즈베리파이3 (buster)의 IP가 192.168.0.111 이기때문에 http://192.168.0.111:9981 로 접속 하였다.
로그인하기
-
TVHeadend 설치중 입력하였던 어드민계정과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된다.
-
로그인이 완료되면 언어설정이 나오는데 Korean으로 변경후 나머지는 모두 Skip 처리하자
기본 설정하기
-
Configuration > General > Base 메뉴로 이동하여 아래 그림과 같이 변경한다.
-
User interface level: Export
-
Default language(s): Korean
-
Theme: Access
채널 등록하기
-
Configuration > DVB Inputs > Networks 메뉴로 이동한다.
-
Add 버튼을 클릭하여 신규등록을 진행한다.
-
빨간색 네모박스안의 설정값으로 변경 후 저장한다.
-
URL항목의 file:///home/pi/tvh/kt2.m3u 경로는 라즈베파이에 해당경로를 만들고 kt2.m3u파일을 넣어두었다.
-
Configuration > DVB Inputs > Muxex 메뉴로 이동하면 채널이 스캔될걸 확인 할 수 있다.
-
Configuration > Channel / EPG > Bouquets 메뉴로 이동한다.
-
Network 메뉴에서등록 했던 이름 kt3를 확인 후 체크박스 선택후 저장한다.
m3u파일만 정상적으로 만들었다면 위 과정을 진행하면 IPTV가 정상적으로 보일것이다.
필자는 라즈베리파이 3 의 라즈비안 10 buster 버전에 TVHeadend를 설치하여 설정을 하였으며, 갤럭시탭S 10.5 에 KODI를 설치하여 TV가 정상적으로 봐지는지 확인을 하였다.
'프로그래밍 > 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 (0) | 2021.01.30 |
---|---|
라즈베리파이 oh-my-zsh 설치하기 (0) | 2021.01.28 |
라즈베리파이 3 buster에 TVHeadend 설치하기 (0) | 2021.01.17 |
라즈베리파이 buster 에 miniDLNA설치하기 (0) | 2021.01.17 |
라즈베리파이 3 라즈비안에 transmission 설치하기 (0) | 2021.01.16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