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목차
1. 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
2. Windows에서 라즈베리파이 원격데스트톱 연결하기
3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설치하기
4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테마적용하기 - zsh2000
5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VHeadend 설치하기
6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TVHeadend IPTV 채널 설정하기
7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iniDLNA설치하기
8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ransmission 설치하기
9. 라즈베리파이 토렌트 다운로드 완료 후 seed 자동 삭제하기
10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ariaDB 설치하기
11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nvm 으로 node.js 버전관리하기
라즈베리파이에서 토렌트 다운로드 완료 후 seed 자동 삭제하기
폴더생성
$ sudo mkdir /home/pi/shell
폴더 권한설정
$ sudo chmod 777 /home/pi/shell
위에서 만들어준 shell 폴더에 777 권한을 부여한다.
폴더 소유자변경
$ sudo chown -R pi /home/pi/shell
위에서 만들어준 shell 폴더에 소유자를 변경한다.
굳이 안해도 될거같은데 나중에 자동삭제가 안되면 한번 해보길 바란다.
shell 파일생성
$ sudo nano /home/pi/shell/autoDelSeed.sh
파일명을 autoDelSeed.sh 이렇게해서 만든다. 파일명칭은 아무렇게나 해도 상관 없다.
나중에 트랜스미션 설정파일에 방금 만든 파일명만 맞춰주면된다.
shell스크립트 내용
#!/bin/sh
SERVER="9091 --auth 아이디:비밀번호"
TORRENT_LIST=`transmission-remote $SERVER --list | sed -e '1d;$d;s/^ *//' | cut --only-delimited --delimiter=" " --fields=1`
for TORRENT in $TORRENT_LIST
do
IS_DOWNLOAD_COMPLETE=`transmission-remote $SERVER --torrent $TORRENT --info | grep "Percent Done: 100%"`
IS_STATE_STOP=`transmission-remote $SERVER --torrent $TORRENT --info | grep "State: Seeding\|Stopped\|Finished\|Idle"`
if [ "$IS_DOWNLOAD_COMPLETE" ] && [ "$IS_STATE_STOP" ]; then
transmission-remote $SERVER --torrent $TORRENT --remove
fi
done
아이디, 비밀번호는 트랜스미션 설정파일에 등록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한다. 쉽게 말해서 트랜스미션 웹페이지 접속할때 아이디와 비밀번호이다.
스크립트 실행권한 추가
$ sudo chmod +x /home/pi/shell/autoDelSeed.sh
트랜스미션 정지
$ sudo /etc/init.d/transmission-daemon stop
Transmission-daemon 설정 변경
$ sudo nano /etc/transmission-daemon/settings.json
설정이 필요한 아이템
"script-torrent-done-enabled": true,
"script-torrent-done-filename": "/home/pi/shell/autoDelSeed.sh",
"trash-original-torrent-files": true,
Transmission-daemon 서비스 시작
$ sudo /etc/init.d/transmission-daemon start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즈베리파이 buster에 rclone 설치하기 (0) | 2021.02.16 |
---|---|
라즈베리파이 nvm으로 nodejs버전 관리하기 (0) | 2021.02.08 |
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ariaDB 설치하기 (0) | 2021.02.01 |
라즈베리파이 원격데스크톱 연결하기 (1) | 2021.01.30 |
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 (0) | 2021.01.30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