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목차
1. 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
2. Windows에서 라즈베리파이 원격데스트톱 연결하기
3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설치하기
4. 라즈베리파이 oh-my-zsh 테마적용하기 - zsh2000
5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VHeadend 설치하기
6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TVHeadend IPTV 채널 설정하기
7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iniDLNA설치하기
8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transmission 설치하기
9. 라즈베리파이 토렌트 다운로드 완료 후 seed 자동 삭제하기
10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ariaDB 설치하기
11. 라즈베리파이 buster에서 nvm 으로 node.js 버전관리하기
라즈베리파이 nvm으로 nodejs버전 관리하기
nvm 설치하기
$ curl -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nvm-sh/nvm/v0.37.2/install.sh | bash
또는
wget -qO- https://raw.githubusercontent.com/nvm-sh/nvm/v0.37.2/install.sh | bash
둘중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한다.
.zshrc 설정파일 수정하기
nano ~/.zshrc
nano를 이용하여 .zshrc 파일 편집모드로 들어간다.
export NVM_DIR="$([ -z "${XDG_CONFIG_HOME-}" ] && printf %s "${HOME}/.nvm" || printf %s "${XDG_CONFIG_HOME}/nvm")"
[ -s "$NVM_DIR/nvm.sh" ] && \. "$NVM_DIR/nvm.sh" # This loads nvm
위 문구를 .zshrc 제일 밑부분에 추가한다.
.zshrc를 새로고침한다
위에서 수정한 .zshrc를 적용하기 위해서 새로고침을 한다.
$ source ~/.zshrc
nvm을 이용하여 node.js를 설치한다.
$ nvm install --lts
node.js 최신 lts버전을 설치한다.
nvm에 설치된 node.js를 확인한다.
$ nvm ls
node, npm 버전 확인하기
$ node -v
$ npm -v
yarn 설치하기
npm install -g yarn
yarn을 전역으로 설치한다.
yarn prefix 확인하기
$ yarn config get prefix
undefined 가 나온다면 글로벌설정을 해줘야한다.
yarn 글로벌 설정하기(prefix 설정)
$ yarn config set prefix ~/.yarn-global
.zshrc에 yarn 글로벌 path 추가하기
$ nano ~/.zshrc
nano 편집기로 .zshrc 편집모드로 진입하여
export PATH="$PATH:`yarn global bin`"
위 문구를 추가한다.
.zshrc 새로고침
$ source ~/.zshrc
.zshrc를 새로고침하여 수정한내용을 적용한다.
본 내용은 참고사이트에서 본내용을 실제 적용해보면서 정리한 내용이다.
반응형
'프로그래밍 > 라즈베리파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즈베리파이 buster에 rclone 설치하기 (0) | 2021.02.16 |
---|---|
라즈베리파이에서 토렌트 다운로드 완료 후 seed 자동 삭제하기 (0) | 2021.02.04 |
라즈베리파이 buster에 MariaDB 설치하기 (0) | 2021.02.01 |
라즈베리파이 원격데스크톱 연결하기 (1) | 2021.01.30 |
라즈베리파이 4 OS 설치하기 (0) | 2021.01.30 |
댓글